Journal

짝퉁과 울면서 겨자먹기

비타민을 잘 섭취하면 몸에 좋다고 하기에 그 유명한 비타XX를 사러 약국에 가면 열에 아홉은 짝퉁을 내놓는다. ‘비타’까지만 같고 나머지는 살짝 틀리게 이름 지워진 짝퉁 비타민 음료들. 분명히 고객은 정확한 브랜드를 말하면서 상품을 요구했지만 더 높은 마진을 주겠다는 로비에 넘어간 많은 약사들은 모른 척하면서 짝퉁을 들이민다. 그 얄팍한 속보이는 짓이 얄밉지만 웬만한 고객은 울며 겨자 먹기로 그 짝퉁을 감내하면서 마신다. 500원 가지고 더운 날에 싸우기도 뭣하지 않은가?

디지털 카메라 업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제품 중 하나는 바로 캐논의 ESO 10D라는 제품이다. 꽤 가격이 나가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검은색 보디와 견고한 디자인 덕분에 출시된 지 일 년이 넘었음에도 품귀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폭발적인 수요 대비 공급이 워낙 달리다 보니 여기서도 장삿속에 피해를 보는 소비자가 속출한다.

미리 예약을 하고 한 달을 기다려도 총판이나 기타 숍에서는 정작 예약자에게 물건을 잘 내주지 않는다고 한다. 이유는 예약자에게는 적정가로 팔아야 하지만 몸이 달은 현찰 박치기 손님에게는 더 많은 마진을 챙기면서 비싸게 팔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남대문에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러 가면 인기 모델의 경우 보디만 달랑 산다고 하면 문전박대 당하기 일쑤다. 렌즈나 액세서리를 대량으로 사면 그나마 숍주인의 얼굴에 미소가 번지고 친절한 척을 한다. 이런 얄팍한 속을 알면서도 손님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손님 대접을 포기하면서 물건을 사러 간다.

그리고 또다른 짝퉁이 있다. 맞벌이를 하는 필자의 경우 국민연금은 애물단지 그 이상이다. 현재 제도상으로 보면 둘이서 허리가 휘어라고 월급에서 국민연금을 제하고 있지만 결국 연금을 받을 때는 한 명분만 받게 된다는 것이다. 일종의 자선 사업을 하고 있는 셈이다. 자기 능력 것 낸 만큼만 받는 것이 공적인 정책의 기본이 아닐까? 문제는 방만하고 엉성한 연금 공단의 운영을 고려하면 과연 맞벌이의 경우 연금의 반을 포기하더라도 정말 남은 반이나마 제대로 받을까 하는 것이다.

현재 수입이 없는 부모님에게 걸핏하면 독촉장이나 보내는 국민연금공단을 보면 정말 지금까지 낸 연금을 모두 회수하고 싶다. 국가가 개인을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거의 조폭처럼 돈을 뜯어가는 것과 다른 게 뭐가 있는가? 도대체 그렇게 불공평하게 연금을 운영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하지만 힘없는 서민은 그런 불합리함을 알면서도 울며 겨자 먹기로 돈을 계속 착취당한다.

파올로 코엘료의 베스트 셀러 ‘연금술사’를 보면 현실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꿈을 추구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이 책이 한국독자들에게 그렇게 인기 있는 이유는 어쩌면 그렇게 하지 못하는 상황이 너무 절실하기 때문이 아닐까? 꿈만은 짝퉁이나 반토막으로 꾸지 말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