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글을 쓸 때 처음에는 막막합니다. 영어에 대한 자신감도 없고 실제 혼자서 글을 써본 경험도 부족하면 손이 나가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 포기합니다. 하지만 누구나 처음부터 잘 할 수는 없습니다.
일단 틀리더라도 써본 사람만이 발전합니다. 문법이 틀리더라도 용법이 맞지 않더라도 멈추지 말고 써나가시기 바랍니다. 흥미 있는 주제를 하나 잡아서 처음에는 욕심부리지 말고 한 문단만 써보고 스스로 검토해 보시면 성취감을 느끼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한 문단이라고 해도 꾸준히 하면 주변에 영어에 관심 없는 사람과 비교하면 놀라운 실력향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기도 좋고 수필도 좋고 블로그에 자신의 느낌을 적어도 좋습니다.
영어로 글을 쓸 때 대부분 사전을 이용합니다. 특히 한영사전을 이용합니다. 처음에는 어쩔 수 없지만 되도록 이 한영사전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자신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글을 쓰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한 문단이라도 자신의 영어로 다 써본 후에 사전을 참조하는 것은 좋은 습관이지만 한 문장을 쓰다가 중단하고 표현을 찾겠다고 사전을 뒤적이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좋은 영작문을 만들어내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기술과 원칙이 논의되고 있지만 오늘은 2가지만 소개하겠습니다.
1. 길고 어려운 단어보다는 짧은 단어를 사용하라
영어를 글을 쓸 때 짧은 단어가 효과도 강하고 쉽게 들어옵니다.
- approximately 보다는 about
- following 보다는 after
- permit 보다는 let
- however 보다는 but
- utilize 보다는 use
- manufacture 보다는 make
- facility 보다는 plant
- establish 보다는 set up
- sufficient 보다는 enough
- demonstrate 보다는 show
- underdeveloped countries 보다는 poor countries
- substantive 보다는 real 을 쓰시기 바랍니다.
실전에서 영작을 하다 보면 같은 단어를 반복하기 싫어서 다른 단어를 찾게 되는데 이때 괜히 어려운 단어를 찾기 보다는 좀더 간결한 단어를 찾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예전에 처음 영작을 배워 나갈 때 일부러 멋을 부린다고 어려운 단어를 찾아서 문장을 복잡하게 만들어 교수님에게 혼난 적이 있습니다. 이후로는 절대 어려운 단어를 사전에 찾지 않습니다. 대신 지금 쓴 단어보다 더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을 찾으려고 합니다.
2. 단어 수를 최대한 줄여라
- strike action 보다는 strike
- cutbacks 보다는 cuts
- track record 보다는 record
- wilderness area 보다는 a wilderness
- large-scale 보다는 big
- the policymaking process 보다는 policymaking
- weather conditions 보다는 weather
- this time around 보다는 this time 을 쓰시기 바랍니다.
영작할 때 쓸 말이 없으면 괜히 단어 수를 늘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체적이고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같은 말을 반복하고 한 단어로 될 말을 두 단어로 표현합니다. 이런 식의 늘이기 전략은 정보 전달을 방해합니다. 일차적인 영작 원고를 작성 한 뒤에 다시 검토하면서 단어 수를 줄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딱 할 말만 하는 능력이야말로 영어라는 언어를 떠나 보편적으로 가장 핵심적인 글쓰기 기술입니다.
자신의 글에 군더더기가 얼마나 많은 가를 확인하고 간결하게 쓰는 연습을 하려면 일단 하나의 주제로 600단어 내외로 글을 쓴 뒤에 줄여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600단어를 억지로라도 맞춰서 글을 쓴 뒤에 다시 내용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400단어로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이때 아무렇게나 자르는 것이 아니라 핵심적인 문장을 남기고 위에 언급한 군더더기 표현을 제거하거나 압축해야 합니다. 두 개의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혹은 하나의 단어로도 줄일 수 있어야 합니다. 다시 이렇게 압축된 글을 200단어로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오면 정말 버리기 싫은 문장들이 많아집니다. 버리면 내용이 틀어지는 표현도 보입니다.
이제 200단어로 압축된 글과 처음 쓴 600단어를 비교해보시면 처음에 작성한 글 속에 얼마나 많은 군더더기가 있었는지 스스로 알 수 있습니다. 단어 수는 본인이 임의로 정해도 무관합니다. 핵심은 얼마나 스스로 필요 없는 문장과 표현을 찾아내서 압축할 수 있는가, 글의 경제성을 살리는 감각을 키우는 것입니다.
일단, 오늘 1시간만 공부해봅시다 :: 전자책 구매링크 (리디북스)
영어로 글을 쓸 때 처음에는 막막합니다. 영어에 대한 자신감도 없고 실제 혼자서 글을 써본 경험도 부족하면 손이 나가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 포기합니다. 하지만 누구나 처음부터 잘 할 수는 없습니다.
일단 틀리더라도 써본 사람만이 발전합니다. 문법이 틀리더라도 용법이 맞지 않더라도 멈추지 말고 써나가시기 바랍니다. 흥미 있는 주제를 하나 잡아서 처음에는 욕심부리지 말고 한 문단만 써보고 스스로 검토해 보시면 성취감을 느끼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한 문단이라고 해도 꾸준히 하면 주변에 영어에 관심 없는 사람과 비교하면 놀라운 실력향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기도 좋고 수필도 좋고 블로그에 자신의 느낌을 적어도 좋습니다.
영어로 글을 쓸 때 대부분 사전을 이용합니다. 특히 한영사전을 이용합니다. 처음에는 어쩔 수 없지만 되도록 이 한영사전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자신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글을 쓰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한 문단이라도 자신의 영어로 다 써본 후에 사전을 참조하는 것은 좋은 습관이지만 한 문장을 쓰다가 중단하고 표현을 찾겠다고 사전을 뒤적이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좋은 영작문을 만들어내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기술과 원칙이 논의되고 있지만 오늘은 2가지만 소개하겠습니다.
1. 길고 어려운 단어보다는 짧은 단어를 사용하라
영어를 글을 쓸 때 짧은 단어가 효과도 강하고 쉽게 들어옵니다.
실전에서 영작을 하다 보면 같은 단어를 반복하기 싫어서 다른 단어를 찾게 되는데 이때 괜히 어려운 단어를 찾기 보다는 좀더 간결한 단어를 찾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예전에 처음 영작을 배워 나갈 때 일부러 멋을 부린다고 어려운 단어를 찾아서 문장을 복잡하게 만들어 교수님에게 혼난 적이 있습니다. 이후로는 절대 어려운 단어를 사전에 찾지 않습니다. 대신 지금 쓴 단어보다 더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을 찾으려고 합니다.
2. 단어 수를 최대한 줄여라
영작할 때 쓸 말이 없으면 괜히 단어 수를 늘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체적이고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같은 말을 반복하고 한 단어로 될 말을 두 단어로 표현합니다. 이런 식의 늘이기 전략은 정보 전달을 방해합니다. 일차적인 영작 원고를 작성 한 뒤에 다시 검토하면서 단어 수를 줄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딱 할 말만 하는 능력이야말로 영어라는 언어를 떠나 보편적으로 가장 핵심적인 글쓰기 기술입니다.
자신의 글에 군더더기가 얼마나 많은 가를 확인하고 간결하게 쓰는 연습을 하려면 일단 하나의 주제로 600단어 내외로 글을 쓴 뒤에 줄여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600단어를 억지로라도 맞춰서 글을 쓴 뒤에 다시 내용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400단어로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이때 아무렇게나 자르는 것이 아니라 핵심적인 문장을 남기고 위에 언급한 군더더기 표현을 제거하거나 압축해야 합니다. 두 개의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혹은 하나의 단어로도 줄일 수 있어야 합니다. 다시 이렇게 압축된 글을 200단어로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오면 정말 버리기 싫은 문장들이 많아집니다. 버리면 내용이 틀어지는 표현도 보입니다.
이제 200단어로 압축된 글과 처음 쓴 600단어를 비교해보시면 처음에 작성한 글 속에 얼마나 많은 군더더기가 있었는지 스스로 알 수 있습니다. 단어 수는 본인이 임의로 정해도 무관합니다. 핵심은 얼마나 스스로 필요 없는 문장과 표현을 찾아내서 압축할 수 있는가, 글의 경제성을 살리는 감각을 키우는 것입니다.
일단, 오늘 1시간만 공부해봅시다 :: 전자책 구매링크 (리디북스)